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/Web

[Web/DL] Django 기반의 자연어 처리 서비스 구현 System Architecture - Django 와 Pytorch 를 이용한 자연어 처리 서비스를 구현한다고 할 때, 생각하는 시스템의 아키텍처는 아래와 같다. 현재 루트 디렉토리 파일 구조 - 우선, Django 프로젝트 생성 과정에 대한 설명 전 프로젝트 구성 후의 루트 디렉토리 파일구조는 아래와 같다. pyDjango 디렉토리 내에 pyDjango (루트 디렉토리) ├── sampleDjango (프로젝트 설정과 웹 실행에 필요한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) └── djangoApp (생성한 앱) └── djangoVenv (가상환경 폴더) Django 설치 1. Django 프로젝트 폴더 생성 - 클론 받은 프로젝트 폴더 내에서 테스트용 flask 웹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디렉토리(pyDjango).. 더보기
[Web Server] Django와 Web Server Django 를 통해 간단한 pytorch 자연어 처리 모델 배포를 위해 정리한 내용 우선, Django 는 Web Framework 라는 생각으로, 그럼 Django 를 사용할 때 웹 서버는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으로 검색을 시작했다. 우선,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Django 는 웹 서버가 아니다!! Django 란 ? 1. Django 개념 - 파이썬으로 작성된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이다. 즉, Web Server 가 아닌 ' Web Application Framework ' 이다. - Django는 모델-뷰-컨트롤러의 MVC 패턴을 따르고 있다. 2. Django 서버 실행 - Django 프로젝트 생성 후 서버를 실행할 때,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./manage.py runserver (= py.. 더보기
[Web] JPA와 Hibernate, Spring Data JPA JPA(Java Persistent API) 1. JPA(Java Persistent API) 정의 - JPA란, Java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이다. - JPA는 특정 기능을 하는 라이브러리 X -> ORM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모아둔 것 -> 그렇다면, ORM은? - 아래 설명! - JPA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, '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정의' 하는 방법 중 하나로, - JPA는 단순한 명세이다. 즉, 구현이 없다. 2. JPA 등장 배경 (1) 기존 RDBS 방식 - 기존 스프링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DBS)를 다룰 때, iBatis난 Mybatis와 같은 쿼리를 매핑하는 SQL Mapper 를 주로 사용했다. -> 하지만, 이러한 기술은 객체 모.. 더보기
[Web] application.properties / application.yml application.properties / application.yml 파일이란? 1. properties 와 yml 파일 용도 - application.properties 또는 application.yml 은 외부 설정값을 관리하는 파일 - 프로젝트 외부에서 특정 값을 받아와야 하는 경우, Ex) AWS나 외부 API를 사용하기 위한 secret key, API key가 있으며, 이러한 외부 설정값 등을 관리할 수 있다. 2. YAML(YAML Ain't Markup Language) (1) YAML 파일 구성 - YAML은 모든 데이터를 리스트, 해쉬, 스칼라 데이터 조합으로 만들며, - 들여 쓰기 및 XML의 특수기호를 사용해 XML과 거의 비슷하다. (2) yaml, yml 파일의 장점 - 계층.. 더보기
[JavaScript] 동기와 비동기 / blocking과 Non-blocking Vue를 접하면서, 아니 프론트를 공부하면서 계속 나오는 비동기! 감이 잡히지만 확실히 알고 넘어가자. 동기 Vs 비동기 처리 방식의 차이까지 정리하자. 동기와 비동기는, 프로세스 수행 순서에 대한 메커니즘이며, 동기/blocking - 비동기/Non-blocking 으로 연관지을 수 있다. 동기(Synchronous) 1. 동기(Synchronous) 방식의 정의 - 프로그래밍에서 말하는 동기는, '동시에 발생해야 하는 조건'으로, - JavaScript에서 작성한 코드는 위에서 ->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이 되며, - 상위 코드가 완료되지 않는다면 ? - 하위 코드 역시 실행이 디지 않는다는 것이다. -> 즉, 동기 = [모든 코드가 '순서'를 가지고 실행이 되는 것] 2. 동기방식의 처리 순서 - .. 더보기